반응형 real estate25 부동산의 분류 - 주택을 분류해보자! 부동산의 분류 - 주택을 분류해보자! 주택도 그 종류가 어마어마하죠. 학부 때 건축법상의 아파트의 정의를 배우고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나요. 빌라 5층 이어도 건축법상은 아파트라고 한다죠. 건축법상 주택의 분류 건축법상 주택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이 있습니다. 단독주택에는 또 다시 다중주택, 다가구주택으로 나뉩니다. 다중주택이란 여러 사람이 장기로 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주택으로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즉, 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되어도 다중주택이라고 할 수 있지만 취사시설이 설치되어 있다면 다중주택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연면적이 330제곱미터 이하, 층수가 3층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 다가구주택이란 지하층을 제외한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3개층이하인 주택을 말합니다. .. 2022. 9. 28. 부동산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 토지의 용어 토지의 용어 토지를 부르는 용어는 다양하다. 토지의 특성에 따라 용어를 분류해보려고 한다. ▶ 택지 · 부지 · 대지 택지는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토지다. 주거용 · 상업용 · 공업용 등으로 이용 중이거나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토지를 말한다. 부지는 다소 포괄적인 용어로써 일정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바닥토지를 말한다. 대지는 건축법상의 용어이다. 택지와 유사한 개념이다. ▶ 후보지와 이행지 - 용도가 전환되어 가고 있는 지역의 토지를 말하며, 전환이 끝난 토지는 해당되지 않는다. - 후보지는 영속성 및 용도의 다양성과 관련이 깊다. - 후보지와 이행지의 특징은 용도적인 공급에 해당한다. - 택지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으로 분류되고 농지지역은 전지 지역, 답지 지역, 과수원 지역으로 분.. 2022. 9. 24. 부동산의 개념 1. 복합개념의 부동산 복합 개념의 부동산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법률적 개념의 부동산은 민법 상 개념인 협의의 부동산으로 볼 때 토지 및 그 정착물이라고 하고, 광의의 부동산은 협의의 부동산과 준부동산(의제 부동산)을 합친 것이다.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은 다섯 가지가 있다. 자산과 자본, 생산요소, 주차장이나 공원, 놀이터, 관광휴양지인 소비재, 거래되는 상품이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이다. 기술적 개념의 부동산은 네 가지가 있다. 자연, 공간, 위치,환경을 말한다. 2. 정착물 2-1. 정착물(fixture)의 의의 정착물은 토지에 영구적으로 설치돼서 부동산의 일부가 되어 분리할 수 없게 된 물건을 말한다. 2-2. 정착물의 유형 정착물에는 토지와는 독립된 부동산으로 보는 정착물과 토지의 일부로 보.. 2022. 9. 19. 중개위임의 획득 - 중개위임면담 1. 개념 중개위임의 과정에서 중개업자가 매도자와 면담하는 것을 말한다. 중개업자는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매도자로부터 신임을 얻도록해야한다. 매도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해준다. 그래야지만 매도자가 중개업자에게 자신의 입장을 솔직하게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매도자 목적의 파악 매도자의 목적은 공통 목적과 개별 목적으로 나뉜다. 2-1. 공통목적 시간은 빨리, 불편은 최소한으로, 가격은 높게 원한다. 중개업자에게 전문가적인 도움을 받는 것을 원한다. 부동산매매에 관련된 여러 복잡한 문제를 중개업자가 대신 처리해 주기를 원한다. 충분한 리스팅서비스를 받기 원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부동산의 매도 그 자체이다. 2-2. 개별목적 왜 대상주택을 팔려고 하는지? 언제까지 이사를 가야하는지? 돈은 얼.. 2022. 9. 14.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