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al estate/부동산중개론18

중개대상물의 마케팅_부동산시장의 특성 부동산 시장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부동산 시장은 지리적 구역으로 정의되는데 이는 위치나 양, 질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비슷한 부동산끼리 균등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은 다른 재화 시장보다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의 특성 ① 수급조절의 어려움 부동산 시장은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기 어렵다. 완공하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가격 단위도 높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까지 얽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요와 공급이 맞춰지지 않아 단기적으로 '가격의 왜곡'이 발생하기도 한다. ② 시장의 국지성 부동산 시장은 지리적 공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여러 부분 시장으로 분류가 된다. 부동산 시장이 여러 개의 부분시장으로 나뉘는 것을 ' 시장의 분화'라고 한다. ③ 시장의 .. 2022. 10. 11.
중개위임의 획득 - 중개위임면담 1. 개념 중개위임의 과정에서 중개업자가 매도자와 면담하는 것을 말한다. 중개업자는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매도자로부터 신임을 얻도록해야한다. 매도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해준다. 그래야지만 매도자가 중개업자에게 자신의 입장을 솔직하게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매도자 목적의 파악 매도자의 목적은 공통 목적과 개별 목적으로 나뉜다. 2-1. 공통목적 시간은 빨리, 불편은 최소한으로, 가격은 높게 원한다. 중개업자에게 전문가적인 도움을 받는 것을 원한다. 부동산매매에 관련된 여러 복잡한 문제를 중개업자가 대신 처리해 주기를 원한다. 충분한 리스팅서비스를 받기 원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부동산의 매도 그 자체이다. 2-2. 개별목적 왜 대상주택을 팔려고 하는지? 언제까지 이사를 가야하는지? 돈은 얼.. 2022. 9. 14.
중개위임의 출처 - 기타 출처 1. 스스로 팔려는 사람 주택을 스스로 팔려는 사람의 80%가 결국에는 다시 중개업자에게 매물을 내놓는다고 한다. 그래서 스스로 팔려는 사람에게 중개위임을 획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스스로 집을 팔려는 사람한테 중개위임을 얻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3단계법을 사용한다. 1-1. 접촉단계 방문약속을 얻기위해 접촉을 시도한다. 전화를 걸어 대상 부동산이 팔렸는지 묻고 만약 아직 안팔렸다면 집을 볼 수 있을지 물어본다. 중개사는 본인의 정체를 속이면 안되고, 솔직하고 정직하게 밝혀야한다. 집주인이 중개업체에 물건을 내놓지 않는다고 말할때에 대비하여 중개사는 적절한 답변을 준비해야 한다. 1-2. 대화단계 두번째 단계는 방문을 하여 집주인과 직접 대화를 나눠보는 것이다. 집을 언제까지 팔아야하는지, 왜 스스.. 2022. 9. 13.
공동중개 위임의 출처 3 - 중개위임농장 1. 공동중개 위임 농장의 개념과 수익성 공동중개 위임농장의 개념과 수익성에 대해 알아보자. 1-1. 개념 부동산업은 경기의 변동에 따라 수입이 많이 변동되는 직업이다. 사무실에서 고객이 오기를 기다리는 것보다 적극적으로 고객을 찾아 나서야 한다. 그 수단으로 앞전의 포스팅에서는 명단 활용법을 소개했었고, 이번에 소개할 것은 중개 위임 농장(=리스팅 농장)이다. 중개 위임 농장은 미국의 중개업에서 사용하는 선진 마케팅 기법이다. 농부는 봄에 밭에 씨를 뿌리고, 여름에 경작하고, 가을에 수확을 한다. 중개 위임 농장을 운영하는 중개업자도 이와 마찬가지다. 중개 위임 농장이란 일반작물을 재배하는 농장과 마찬가지로, 씨를 뿌리고, 경작하여 중개 위임이라는 결실을 이뤄내는 일정 구역, 일단의 사람들, 또는 부동.. 2022.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