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인중개사 1차6 토지의 특성 2 _ 인문적 특성 토지의 인문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토지의 특성중 첫 번째는 용도의 다양성입니다. 용도의 다양성은 부증성과 함께 최유효이용의 판단 근거가 되며 경제적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용도의 다양성은 가치의 다원적 개념의 이론적 근거가 되며 토지이용의 창조적 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토지의 두번째 특성은 병합과 분할의 가능성입니다. 이는 이용주체의 목적에 따라서 인위적으로 분할하거나 합병하여 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토지의 병합과 분할은 토지용도의 다양성을 지원하는 기능을 갖게 하며, 행정규제가 따릅니다. 토지의 세번째 특성은 고가성입니다. 토지의 고가성으로 인해 수요자와 공급자의 수를 제한하게 하며 부동산 시장을 불완전경쟁시장으로 만드는 요인이 되며, 부동산 구매 시에 금융제도의 발달을 필수적으로.. 2022. 10. 9. 토지의 특성과 그에 따른 파생현상 1 - 자연적특성 토지의 자연적 특성 부동성 부동성은 위치가 고정되어있는 것, 이동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부동산을 동산과 구별하는 대표적인 근거가 되는 특성이다. 부동성은 부동산활동을 국지화(지역화)하며, 감정 평가할 때에 토지도 경제적 감가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부동성은 정부의 규제를 받는 근거가 된다. 개별성 개별성은 물리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토지는 없다는 것이며 일물일가의 법칙을 배제시키는 토지의 특성이다. 감정평가 시 균형의 원칙을 고려하고 부동산 상품을 표준화하기 어렵게 한다. 또한 개별성은 토지도 기능적 감가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부동산 활동을 개개의 토지마다 개별화시키고 구체화시킨다. 부증성 부증성은 비생산성, 면적의 유한성을 나타낸다. 즉, 생산비를 투입해 물리적으로 절.. 2022. 10. 5. 부동산의 분류 - 주택을 분류해보자! 부동산의 분류 - 주택을 분류해보자! 주택도 그 종류가 어마어마하죠. 학부 때 건축법상의 아파트의 정의를 배우고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나요. 빌라 5층 이어도 건축법상은 아파트라고 한다죠. 건축법상 주택의 분류 건축법상 주택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이 있습니다. 단독주택에는 또 다시 다중주택, 다가구주택으로 나뉩니다. 다중주택이란 여러 사람이 장기로 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주택으로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즉, 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되어도 다중주택이라고 할 수 있지만 취사시설이 설치되어 있다면 다중주택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연면적이 330제곱미터 이하, 층수가 3층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 다가구주택이란 지하층을 제외한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3개층이하인 주택을 말합니다. .. 2022. 9. 28. 부동산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 토지의 용어 토지의 용어 토지를 부르는 용어는 다양하다. 토지의 특성에 따라 용어를 분류해보려고 한다. ▶ 택지 · 부지 · 대지 택지는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토지다. 주거용 · 상업용 · 공업용 등으로 이용 중이거나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토지를 말한다. 부지는 다소 포괄적인 용어로써 일정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바닥토지를 말한다. 대지는 건축법상의 용어이다. 택지와 유사한 개념이다. ▶ 후보지와 이행지 - 용도가 전환되어 가고 있는 지역의 토지를 말하며, 전환이 끝난 토지는 해당되지 않는다. - 후보지는 영속성 및 용도의 다양성과 관련이 깊다. - 후보지와 이행지의 특징은 용도적인 공급에 해당한다. - 택지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으로 분류되고 농지지역은 전지 지역, 답지 지역, 과수원 지역으로 분.. 2022. 9. 2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