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문지식/노무14 노무에서 말하는 휴일에 대하여 알아보자! 1. 휴일의 의의 1-1. 개념 정의 휴일은 사전에 근로자가 사용자에 대해 '근로제공의 의무가 없는 날'로 규정된 날을 의미한다. 휴일은 근로자가 사용자로부터 일체의 구속에서 해방되는 날인 것이다. 휴일은 법정휴일과 약정휴일로 나뉘고, 법정휴일은 법에 근거하여 의무적 부여를 하고 약정휴일은 부여 여부 · 부여조건 등이 단체 협약이나 규칙을 통해 결정된다. 또한 약정휴일은 임금지급 여부도 결정하는 바에 따른다. 2. 법정 휴일 2-1. 주 휴일 주 휴일은 근로자가 1주의 근무일을 모두 개근한 경우에 부여되는 유급 휴일이다. 1주 5일을 근무하기로 하고 모두 개근한 경우에 일요일을 주 휴일로 지정하고 유급으로 부여한다. 주 휴일은 소정근로시간이 1주에 40시간인 경우 8시간 부여하므로, 1주 근로 시간이 4.. 2022. 8. 26. 유연적 근로 시간 제도의 의의와 종류에 대한 이해 1. 유연적 근로 시간 제도 1-1. 의의 및 기본원리 유연적 근로 시간 제도는 고정적인 근로 시간에서 벗어나 근로시간의 조직과 운영에 대해 탄력성을 주고자 하는 제도이다. 근로시간의 유형은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있으며 이의 기본원리는 근로 시간의 길이와 조정이다. 그다음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있으며 이의 기본원리는 출근과 퇴근 시간제의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간주 근로시간제가 있으며 이의 기본원리는 근로시간의 산정곤란과 간주시간을 말한다. 1-2. 유연적 근로 시간제도와 서면합의 근로 기준법은 사용자가 위의 근로시간의 유형중의 한가지를 도입하고자 할 때 어떠한 사항에 대해 근로자 대표와 서면 합의를 한다. 2. 탄력적 근로 시간제 2-1. 의의 및 제도적 취지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어떤 일의 .. 2022. 8. 26. 법정 근로 시간의 의의와 내용에 대한 이해 1. 법정 근로 시간의 의의 의의와 1일 또는 1주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다. 1-1. 의의 법정 근로 시간은 1일과 1주를 단위로 근로 시간을 제한하고 있다. 이는 장시간 근무로 발생하는 근무자들의 피로를 회복시켜 노동력을 보존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1-2. 1일 또는 1주의 의미 법정 근로 시간에 관한 규정에서 "1일"은 오전 0시부터 오후 12시까지를 의미한다. "1주"는 역상의 휴일을 포함한 7일을 의미한다. 2. 법정 근로 시간의 내용 2-1. 근로 시간은 휴게 시간을 제외하고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넘을 수 없다. 남녀 모두에게 적용된다. 2-2. 15세 이상 18세 미만인 자의 근로 시간은 1일 7시간, 1주 35시간을 넘을 수 없다. 성인과 .. 2022. 8. 25. 근로 시간의 개념 및 구분에 대한 이해 근로 시간의 개념과 구분 1. 근로시간의 의의 "근로 시간"이란 근로자가 근로계약상의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을 말한다. 근로 시간은 휴게 시간을 제외한 순수 일한 시간만을 말한다. 2. 근로 시간의 구분 근로 시간으로 보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2-1. 근로 시간으로 보는 경우 근로 시간은 실제로 근무하는 경우와 근무 휴게의 경우 등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시간을 실근로 시간과 구분지어 근속 시간이라고 한다. 근속 시간의 유형 주요내용 실 작업 시간 사용자의 지휘와 명령을 받고 실제 작업에 근무하는 시간 대기 시간 사용자의 지휘와 명령을 받고 작업을 위해 기다리는 시간 준비와 정리 시간 사용자의 지휘와 명령을 받아 작업에 필요한 준비와 정리하는 시간 교육 시간 사용자의 지시와 명령에 .. 2022. 8. 2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