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법정 근로 시간의 의의
의의와 1일 또는 1주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다.
1-1. 의의
법정 근로 시간은 1일과 1주를 단위로 근로 시간을 제한하고 있다.
이는 장시간 근무로 발생하는 근무자들의 피로를 회복시켜 노동력을 보존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1-2. 1일 또는 1주의 의미
법정 근로 시간에 관한 규정에서 "1일"은 오전 0시부터 오후 12시까지를 의미한다.
"1주"는 역상의 휴일을 포함한 7일을 의미한다.
2. 법정 근로 시간의 내용
2-1. 근로 시간은 휴게 시간을 제외하고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넘을 수 없다. 남녀 모두에게 적용된다.
2-2. 15세 이상 18세 미만인 자의 근로 시간은 1일 7시간, 1주 35시간을 넘을 수 없다.
성인과 다르게 규정하는 것은 취학 등을 고려해서 보호하기 위함에 있다.
2-3.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의 근로 시간은 1일 6시간, 1주 34시간을 넘지 못하고 연장 근로를 할 수 없다.
3. 휴게시간
휴게 시간은 근로 시간에 포함이 안 된다. 따라서 법정 기준 근로 시간 계산에도 미포함된다.
4. 소정 근무 시간과의 관계
소정 근무 시간은 법정 근로 시간 범위내에서 근로자가 사용자가 근로하기로 정한 시간이다.
5. 주 5일 근로제와의 관계
근로 기준법은 주휴일을 1일로 규정하고 있다. 근로 기준법이 주 40 시간 근로제와 1일 8시간 근로제를 동시에 규정하고 있다고 해서 주 5일 근로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1주일에 5일은 7시간, 1일은 5시간 총 6일을 근무하더라도 이는 법 위반이 아니다.
6. 법정 근로 시간의 위반효과
법정 근무 시간에 관한 규정 위반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적용된다.
법정 근로 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였을 경우는 위반에 해당하더라도 가산 임금이 추가로 지급되어야 한다.
출처 경제법륜사, 서울상공회의소
'전문지식 > 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무에서 말하는 휴일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2.08.26 |
---|---|
유연적 근로 시간 제도의 의의와 종류에 대한 이해 (0) | 2022.08.26 |
근로 시간의 개념 및 구분에 대한 이해 (0) | 2022.08.24 |
근로계약 (0) | 2022.08.23 |
위드코로나시대의 인사노무관리 (0) | 202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