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대형마트, 일요일 대신 평일 휴무
대구시에서 매달 둘째 주 넷째 주 일요일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바꾼다.
전국 7개 특별시와 광역시 가운데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일요일에서 평일로 바꾸는 건 대구시가 처음 시행한다.
대구시는 19일 홍준표 시장을 비롯해 유통업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 추진 협약식'을 체결했다.
대구지역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일 전환은 반대 여론을 무릅쓴 홍준표 시장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배경이 되었다.
휴일 휴업은 전통시장 매출 증가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고 소비자 불편만 초래한다는 것이다.
평일에 대형마트가 쉬면 주변 점포 매출이 11프로 상향한다고 한다. 대형마트가 영업을 하는 것만으로도 주변 3km 이내 점포의 매출액이 평균 20%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구광역시가 내년부터 의무휴업일을 바꾸기로 하기로 함에 따라 서울특별시와 다른 광역시들도 대형 마트 의무 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하는데 합류할지 주목이 된다.
현재 둘째주와 넷째 주 일요일에 의무적으로 대형마트의 휴일 결정은 2012년 서울시 각 자치구를 중심으로 조례로 규정하였다. 그 뒤 6대 광역시도 같은 날을 쉬고 있다.
하지만 현재도 전국의 마트 403개 중 100개점은 둘째주 일요일과 넷째 주 일요일이 아닌 날이 휴업일이다.
전국의 이마트 158개점 중의 45개점이 일요일이 아닌 날에 휴무다.
경기도에 있는 이마트 과천점, 이마트 안양점, 이마트 평촌점, 이마트 하남점은 한달에 두 번 수요일이 휴무일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역마다 전통시장이 있냐 없냐에 따라 대형마트의 휴일이 정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각 지자체와 상인단체 한국체인스토어 협회 등의 이해관계자들이 모여서 지역의 실정에 따라 한 달에 두 번 쉬는 날을 임의로 정해왔다고 한다.
전통시장 등 상인들의 단체 결단이 일요일 휴무를 바꾸는 데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구시가 대형마트 휴일 의무휴업을 평일로 바꿀 수 있었던 것은 대구 지역 상인단체들의 적극적 자세가 결정적이었다.
출처 - 매일경제
'정보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년만에 제야의 종 울린다, 종로 보신각 타종 행사 (0) | 2022.12.26 |
---|---|
외식비 부담된다, 대신 뜨는 밀키트 5명중 1명이 사봤다 (0) | 2022.12.25 |
키즈앱 1위 꿈꾸는 '아이들나라' (0) | 2022.12.16 |
편의점 비닐봉투 금지하더니, 한달만에 부활 (0) | 2022.12.16 |
휘발유 가격 18개월만에 1500원대 (0)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