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의학정보

망막박리의 원인 및 증상 망막박리 치료

by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2023. 2. 5.
728x90

망막박리의 원인 및 증상 망막박리 치료

 

망막박리란?

 

매년 만 명에 한 명 정도로 발생하는 안질환입니다. 주로 중년 이후에 흔히 나타나지만 모든 연령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안과 질환입니다.

 

고도근시를 가지고 있는 경우, 백내장수술을 한 후, 또는 딱딱한 물체에 안구가 직접적으로 다쳤을 때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드물게는 유전적으로 발생합니다.

 

망막은 우리가 빛을 느낄 수 있는 신경섬유와 세포로 이루어진 투명한 막입니다. 망막은 카메라의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막과 수정체를 통해 들어온 물체의 영상이 맺히게 됩니다.

 

망막에 맺혀진 영상은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돼 물체로 인식하게 되는데 망막이 안구 내벽에 정상적으로 붙어있지 못한 상태를 망막박리라고 합니다.

 

 

 

 

 

망막박리 원인

 

망막박리의 원인은 여러 가지이지만 대부분은 망막열공에 의해 유발됩니다.

 

유리체는 우리 눈 속에 대부분을 채우고 있는 투명한 젤리상태의 유동체 조직입니다. 이 유리체는 망막에 단단히 붙어있는데 유리체가 이동을 하게 되거나 수축하게 될 경우 망막과 단단히 유착된 부위에서 망막을 잡아당기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망막이 찢겨 망막열공을 유발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망막박리는 망막열공 없이도 심한 염증이 생기거나 안구의 종양이 생길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뇨망막병증의 합병증으로도 유발됩니다. 

 

이처럼 어떤 질환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생긴 망막박리는 선행된 근본 질환을 치료하게 되면 망막이 정상적인 위치로 다시 붙을 수도 있습니다. 

 

 

 

망막박리 증상

 

나이가 들면서 눈앞에 까만 점이 생긴경우, 곤충 같은 물체들이 떠다니는 경우, 번갯불이 번쩍이는 듯한 증상입니다.

 

이런 증상들이 큰 문제는 없지만 갑자기 발생한 경우나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경우는 망막열공이 발생한 경우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빨리 안과 진료를 받도록 해야합니다. 망막열공을 일찍 발견하면 비교적 치료가 쉬우나 늦게 발견하면 위험하고 복잡한 수술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망막박리 치료

 

망막열공이 발생했지만 망막박리까지 진행이 되지 않은경우에는 즉각적인 치료로 망막박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망막박리가 진행되면 반드시 수술적인 방법을 택해야 합니다. 

 

수술 방법은 실리콘으로 된 스펀지나 밴드등으로 안구를 눌러서 유리체가 망막을 이끄는 힘을 감소시키고 망막열공 주위에 반흔조직을 형성하는 치료를 같이 해서 망막열공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복잡한 망막박리와 위치가 특별한 곳에 있으면 유리체 절제술을 실시합니다.

 

더 복잡한 경우는 실리콘 기름을 눈속에 주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망막박리의 정의와 증상 및 원인 망막박리의 치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 종로 공안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