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al estate/부동산학개론7

부동산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 토지의 용어 토지의 용어 토지를 부르는 용어는 다양하다. 토지의 특성에 따라 용어를 분류해보려고 한다. ▶ 택지 · 부지 · 대지 택지는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토지다. 주거용 · 상업용 · 공업용 등으로 이용 중이거나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토지를 말한다. 부지는 다소 포괄적인 용어로써 일정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바닥토지를 말한다. 대지는 건축법상의 용어이다. 택지와 유사한 개념이다. ▶ 후보지와 이행지 - 용도가 전환되어 가고 있는 지역의 토지를 말하며, 전환이 끝난 토지는 해당되지 않는다. - 후보지는 영속성 및 용도의 다양성과 관련이 깊다. - 후보지와 이행지의 특징은 용도적인 공급에 해당한다. - 택지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으로 분류되고 농지지역은 전지 지역, 답지 지역, 과수원 지역으로 분.. 2022. 9. 24.
부동산의 개념 1. 복합개념의 부동산 복합 개념의 부동산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법률적 개념의 부동산은 민법 상 개념인 협의의 부동산으로 볼 때 토지 및 그 정착물이라고 하고, 광의의 부동산은 협의의 부동산과 준부동산(의제 부동산)을 합친 것이다.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은 다섯 가지가 있다. 자산과 자본, 생산요소, 주차장이나 공원, 놀이터, 관광휴양지인 소비재, 거래되는 상품이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이다. 기술적 개념의 부동산은 네 가지가 있다. 자연, 공간, 위치,환경을 말한다. 2. 정착물 2-1. 정착물(fixture)의 의의 정착물은 토지에 영구적으로 설치돼서 부동산의 일부가 되어 분리할 수 없게 된 물건을 말한다. 2-2. 정착물의 유형 정착물에는 토지와는 독립된 부동산으로 보는 정착물과 토지의 일부로 보.. 2022. 9. 19.
부동산학의 의의 1. 부동산학의 정의 부동산학은 종합 응용 사회과학이고 순수과학은 아니다. 규범 과학이고 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은 아니다. 2. 부동산학의 연구분야 실무적 분야는 부동산결정 분야와 부동산 결정 지원분야가 있다. 부동산 결정 분야는 부동산 투자, 부동산 개발, 부동산금융, 부동산 정책이 있다. 부동산결정 지원분야는 부동산 마케팅, 부동산 관리, 감정평가 활동, 부동산 컨설팅, 부동산 중개, 부동산 입지선정, 권리분석이 있다. 부동산 결정 분야와 부동산 결정 지원분야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3. 부동산학의 주요 연구방법(접근방법) 3-1. 종합식 접근방법 종합식 접근방법은 복합개념의 사고에 의해 부동산을 탐구하는 방법이며, 우리나라의 부동산학을 체계화시키는데 기여한 접근방법이다. 3-2. 의사결정 접근방법.. 2022.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