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과 의학정보32

알레르기 질환은 면역력 약화 현상, 해결 방안은? 알레르기 질환은 면역력 약화 현상, 해결 방안은? 알레르기 질환은 몸의 면역력과 관계가 깊다.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 체계가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나타난 증상으로 기관지 천식, 아토피 피부염, 꽃가루 알레르기 등이 있다. 가려움과 콧물, 기침, 구토가 주요 증상이며 심할 경우 혈압이 낮아지거나 호흡이 곤란해지는 상황까지 일어날 수 있다. 발생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보기로 하자. 발생원인 1. 자율신경계의 부조화로 발생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로 간접흡연, 꽃가루, 애완동물의 털, 우유, 땅콩, 미세먼지 등으로 다양하다. 어렸을 때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아토피나 기관지 천식이 많이 나타나는데 크면 저절로 좋아진다고 생각했다. 이를 이론적으로 보면 어린 아이들에게는 림프구가 많은데 커가면서.. 2022. 9. 17.
자율신경계의 부조화와 면역력의 붕괴 말초신경계의 하나인 자율신경계는 호흡, 소화와 같이 두뇌의 직접적인 지시를 받지 않는 행위를 관장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뉜다. 교감신경은 몸을 활발히 움직이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혈압과 심박동을 높여 긴급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부교감신경은 우리 몸이 편안한 상태일 때 활성화된다. 즉, 쉬거나 잘 때 혈액을 장기로 보내 소화를 시키고 혈압을 늦추고 심박동을 편안하게 만든다. 두 신경의 조화가 깨지면 면역력이 붕괴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조화 몸이 긴장하게 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이는 과립구 과잉을 불러일으킨다. 몸이 이완하게 되면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된다. 이는 림프구 과잉을 불러일으킨다. 교감신경 또는 부교감신경이 우세할 때 생기는 질병들 교감신경이 우세.. 2022. 9. 11.
면역력에서 장 건강이 중요한 이유 면역력과 장세포 면역세포는 온몸에 있지만 장에 70~80%가 있다. 장이 건강한 사람은 면역력이 높고 질병 없이 건강하다고 할 수 있다. 장은 단순히 소화와 흡수만 하는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가 의학연구에 의해 면역 시스템의 핵심이 장임을 알게 되었다. 면역력은 곧 장내 세균의 균형 장에는 여러 가지 세균이 자리 잡고 살고 있다. 그 수가 정확하지 않지만 엄청나게 방대하다. 장에는 유익균과 유해균, 중간 균이 있는데 그 비율이 30%, 10%, 60% 일 때 장이 가장 건강하다고 할 수 있다. 유익균이 장에서 하는 일은 발암물질 배설, 병원균 배출, 콜레스테롤을 체외로 배설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장내 ph를 조절하고, 장의 연동운동을 활성화한다. 유해균도 외부에서 침입하는 콜레라균이나 이질균이 들어오면 .. 2022. 8. 23.
부정맥(arrhythmia) 진단 후 부정맥에 대해 알아본 후기 종합검진결과 설명 종합 건강검진을 받고 일주일이 지났습니다. 병원 측으로부터 문자가 도착했는데 결과 설명을 해준다고 내원을 요청해달라는 문자였습니다.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긴장되는 마음으로 병원을 가서 결과에 대해 설명을 들었습니다. 여러 가지 안 좋은 점이 5가지 정도 있었는데 가장 심각한 것은 부정맥 소견이 있다 하여 바로 심장초음파를 실시했습니다. 상의만 검진복으로 갈아입고 10분 정도 심장초음파를 받았습니다. 결과 설명해주시는 선생님께서 직접 심장초음파를 하셨는데 전문분야라고 하셨습니다. 나이에 비해 심장판막도 덜 뛰고 그다지 좋은 상태는 아니라고 하셨지만 일반의가 심장초음파를 실시한다면 정상인 수준이라고는 하셨습니다. 즉, 질병 정도는 아니라 심장 초음파만 받고 귀가를 했습니다. 13년도에 실시한.. 2022.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