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상피세포 작아지는 '위축성 위염' 방치 시 위암
'위축성 위염' 이란?
위축성 위염은 만성 염증으로 인해 위 점막이 얇아진 상태를 말한다. 위축성위염은 특별한 증상도 없고 증상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낮은 편이다.
전 국민의 1/4이 앓고 있을 거라고 추정될 만큼 흔한 질환인데 만성 위염이 있는 나도 위축성 위염은 생소하게 느껴진다.
위축성 위염의 원인
위축성 위염의 주 원인은 만성 위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나도 위축성 위염이 있을 확률이 더 높아질 거 같다..
만성 위염은 위 점막층이 손상되고 염증이 생긴 후에 3개월 동안 지속 될 경우 만성 위염이라고 한다.
위축성 위염이 발병하면 위벽이 얇아지고 위벽에 있는 주름 개수가 줄어들면서 소화 기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축성 위염을 방치할 경우 위 점막 상피세포가 장 상피세포처럼 변하는 '장상피화생' 으로 이어진다.
위암의 원인
장 상피화 생은 위가 장처럼 변하는 것으로 위 내경을 할 때 위 상피세포 대신 혈관이 보이기도 한다.
장 상피화 생은 위암의 주요 원인이다.
정리하자면 위염 -> 만성 위염 -> 위축성 위염> 장 상피화 생> 위암 으로 진행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위축성 위염의 증상
일부 환자의 경우 소화 장애를 느낀다. 밥을 먹고 나서 더부룩한다거나 복부가 불쾌한 것을 느끼기도 한다.
또한 맵거나 짜거나 신 자극적인 음식을 먹고 나서 복통이 발생할 수 있다. 나도 이런 증상이 있는데 관리를 잘해야겠다.
위축성 위염은 소화 기관의 감기라고 할 만큼 흔하지만 오래 방치하거나 나이가 많이 든 경우는 위험할 수 있다.
복통에 따라 흔히 진통제를 복용하는것은 일시 방편일 뿐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위축성 위염의 치료
위축성 위염 치료를 위해서는 위축성 위염의 주된 원인인 만성 위염의 위험요인을 줄여야한다.
만성 위염이 발생하는 원인은 헬리코박터 균 감염, 진통제나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의 섭취, 흡연, 음주, 불규칙한 식습관이 원인이다.
특히 헬리코박터 균 감염기간이 오래되거나 고령자일수록 위축성 위염의 발병 확률이 높다.
헬리코박터균이란?
헬리코박터 균은 사람 위 속에 살고 있는 세균이다. 이 균은 유레이스라는 효소를 내뿜어 산성인 위를 중화시킨다.
이런 과정에서 다양한 독성물질이 나오고 염증도 생겨난다. 헬리코박터 균 감염은 가족 간 감염이 쉽게 발생한다.
헬리코박터 균의 치료는?
헬리코박터 균 치료에는 항생제가 사용된다.
1차 제균 치료가 실패로 되면 항생제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전문의의 치료과정에 맞춰 약을 잘 복용해야 한다.
제균 치료에 성공 했더라도 헬리코박터 균은 상호감염이 많이 일어나 위 내시경을 1~2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받는것이 좋다.
출처 - 매경 이코노미 2183호
'건강과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치질 잘해도 충치 생기는 이유와 충치 예방법 (0) | 2022.11.21 |
---|---|
백내장과 녹내장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0) | 2022.11.14 |
턱 관절 장애 47만명, 초기 치료하면 완치 가능! (0) | 2022.11.09 |
황반변성이란? 황반변성 원인과 증상, 치료까지 알아보자. (0) | 2022.11.09 |
종로 공안 과에서 안구 건조증으로 인공 눈물 받기 (0) | 2022.11.08 |